다음을 통해 공유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2007 R2의 공개 키 인프라

마지막으로 수정된 항목: 2009-03-09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2007 R2는 인증서를 사용하여 서버를 인증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그리고 여러 서버 역할 간에 트러스트 체인을 설정합니다. Windows Server 2003 및 Server 2008 PKI(공개 키 인프라)는 이 트러스트 체인을 설정하고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인증서는 서버를 이름별로 식별하고 서버 속성을 지정하는 디지털 ID입니다.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에 연결된 기타 서버에서 트러스트되는 CA에서 발급한 인증서에만 유효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서버가 개인 네트워크의 다른 클라이언트 및 서버에만 연결되는 경우 엔터프라이즈 CA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 네트워크 외부의 엔터티와도 상호 작용하는 경우에는 공용 CA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인증서의 정보가 유효하더라도 인증서를 제공하는 서버가 실제로 인증서에 나와 있는 서버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Windows PKI를 사용합니다.

각 인증서는 공용 키에 연결됩니다. 인증서에 이름이 지정되어 있는 서버는 다른 위치에서는 알 수 없는 해당 개인 키를 포함합니다. 이 서버에 연결하는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는 공용 키를 사용하여 임의의 정보를 암호화한 다음 서버로 보냅니다. 서버에서 이 정보의 암호를 해독하여 일반 텍스트로 반환하면 연결 대상 엔터티는 해당 서버가 인증서의 개인 키를 포함하며 인증서에 이름이 나와 있는 서버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인증서 요구 사항을 따르지 않는 공용 CA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증된 공용 CA 공급업체 목록을 참조하여 공용 인증서 요구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Exchange 2007 및 Communications Server 2007의 통합 커뮤니케이션 인증서 파트너(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140898)를 참조하십시오.

CRL 배포 지점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2007 R2에서는 모든 서버 인증서에 하나 이상의 CRL(인증서 해지 목록) 배포 지점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CDP(CRL 배포 지점)는 인증서 발급 시점 이후로 인증서가 해지되지 않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CRL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CRL 배포 지점은 인증서 속성에 URL로 기록되며 일반적으로 보안 HTTP입니다.

향상 키 사용

Office Communications Server 2007 R2에서는 모든 서버 인증서가 서버 인증을 위해 EKU(향상 키 사용)를 지원해야 합니다. 서버 인증을 위해 EKU 필드를 구성하면 인증서를 서버 인증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EKU는 MTLS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EKU에 여러 항목을 포함하여 인증서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Live Communications Server 2003 및 Live Communications Server 2005로부터의 아웃바운드 MTLS 연결에는 클라이언트 인증 EKU가 필요했지만 이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공용 IM 연결을 통해 AOL에 연결하는 에지 서버에는 이 EKU가 있어야 합니다.